롱코비드- 미국 학생들 읽기·수학 올해도 회복 안됐다

교육뉴스

belt-mguy-hp.png

롱코비드- 미국 학생들 읽기·수학 올해도 회복 안됐다

가교 0

-  "4개월 이상 추가 학교교육 필요한 수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학습 결손을 메우려 연방 자금 수천억 달러(수백조 원)를 쏟아부었으나 지난 학기에도 학생들의 읽기와 수학 수준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뒤처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1일 뉴욕타임스와 AP 통신에 따르면 비영리 교육 평가연구기관 NWEA는 이날 발표한 '교육의 롱 코비드'(Education's long COVID) 보고서에 팬데믹 전후의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연구진은 2022∼2023학년도 3∼8학년(초3∼중2) 학생 670만명의 MAP 그로스(MAP Growth) 테스트 결과를 2016∼2017학년도부터 2018∼2019학년도까지 코로나19 이전의 3∼8학년 1천100만명의 테스트 결과와 비교했다.


맵 테스트는 미국과 영어권 국가 계열 국제학교에서 널리 사용하는 학업 성취도 평가로 영어 읽기(reading) 능력과 수학 능력 등을 평가한다.


분석 결과, 3학년을 제외한 전 학년 학생들이 읽기·수학 모두 팬데믹 이전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현재의 학생들이 팬데믹 이전 학생만큼 읽기와 수학에서 진전을 보려면 수학을 4.5개월, 읽기를 4.1개월 학교에서 더 배워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 주 저자인 캐런 루이스 NWEA 학교·학생발전센터장은 "우리는 실제로 퇴보의 징후를 목격하고 있다"고 말했다.


흑인과 히스패닉 학생들의 타격이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인종 집단에서는 추가 교육이 필요한 기간이 평균보다 1개월가량씩 더 길었다.


팬데믹 관련 학습 결손을 해결하기 위해 투입된 미 연방 자금은 2천억 달러(약 260조원)에 육박한다. 각 학교는 이를 개인지도 프로그램, 여름방학 프로그램 등에 썼다.


루이스 센터장은 "학교들은 옳은 일을 하고 있다. 다만, 옳은 일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가 코로나19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지속적인가 과소평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학창 시절 교육 결손은 졸업 이후의 삶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 팬데믹 기간 학창 시절을 보낸 학생들이 팬데믹 이전 학교 교육을 받은 사람과 견줄 때 교육 수준이나 숙련도, 생산성이 낮고 평생에 걸쳐 소득이 7만달러(약 9천만원) 적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

0 Comments
belt-mguy-hp.png
Facebook Twitter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